귀 파도 되나요? 올바른 귀지 제거방법

 

귀지는 몸에서 나온 분비물과 귓속에 들어간 먼지가 엉켜 생긴 때를 말합니다.

하지만 때라고 해서 함부로 제거해서는 안됩니다.

고막이 다치거나 염증이 생기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귀지를 올바르게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께요~^^;

 

 

 

사람마다 얼굴 생김새나 피부색이 다르듯 귀지의 형태와 질감 역시 다릅니다.

특히 습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귀지가 습한 사람이 있고 건조한 사람이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유전적 영향에 의한 것으로 대체로

서양인은 습하고 동양인은 건조합니다.

 

하지만 귀지의 습도가 어떻든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건조해셔 귀 밖으로

빠져나오게 됩니다.

 

오래된 귀지는 음식을 씹을 때처럼 턱이 움직일 때 외이

(귀 입구부터 고막까지의 통로) 속에서 함께 움직이는데,

이러한 작용에 의해 외이도 통로를 따라 밖으로 배출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처럼 자연스럽게 귀지가 밖으로 빠져나오므로 굳이 귀를

팔 필요가 없지만, 외이도가 좁거나 구조가 독특하다면 귀지가 빠져나오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 이어폰, 보청기를 장시간 착용하는 사람들도 귀지가

내부로 밀착되면서 잘 빠져나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귀이개나 면봉, 얇은 핀 등을 이용해 귀청소를 하게되면 귀지가 안으로

밀리면서 외이도 통로를 막는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더불어 귀 내부를 자극해 손상을 입힐 수 도 있습니다.

 

 

 

 

귀안에 이물감이 느껴진다거나 통증, 청력 이상, 이명, 가려움, 귀 고름, 냄새

현기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외이도가 폐색된 상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함이 느껴진다면 병원에서 검사를 통해 귀지가 원인인지

확인해 봐야합니다.

 

 

 

 

미국 이비인후과학회에 따르면 외이도가 막히는 것을 예방하려면 귀이개

등으로 귓속을 자꾸 청서해서는 안된다고 합니다. 단 귀 바깥쪽으로 거의

빠져나온 귀지는 면봉을 이용해 제거할 수 있습니다.

 

또 귀 질환이나 외이도의 독특한 구조로 인해 귀지가 쌓이는 증상이 반복될

수밖에 없다면 일년에 한번 이상 병원을 방문해 귀지를 제거하는 도움을

받는것이 좋습니다. 

Posted by 라온상자
,